본문 바로가기
  • 좋은 곳과 맛있는 곳 생각하기...
쏭PD의생각/행사기획

단기선교 계획세우기 3

by 쏭PD 2025. 4. 1.

이 글은 단기선교를 계획하는 분들과 교회에게 도움이 되고자 부족하지만 글을 남깁니다.

※ 첨부자료는 일부발췌와 블러처리가 됩니다. 혹시 초상권이나 저작권 등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겠습니다.

 

 

 

     단기선교는 선교팀만 참여하는 것이 아니고 교회 전체 성도의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성도들의 참여를 불러일으켜야 합니다. 어느 선교 교제에 '가는 선교사, 보내는 선교사'로 표현한 것을 보았습니다. 선교팀은 가는 선교사가 되는 것이고 교회 성도들은 보내는 선교사로서 모두 선교 사역을 감당하게 되는 것입니다. 자연스레 성도들에게 기도 후원으로서 선교에 동참시킵니다. 사진에서처럼 게시판에 게시도 해보았고 성도들에게 기도 매칭하여 기도편지도 전달해 보았습니다. 좋은 방법이 있다면 여러분들의 방법도 공유해주세요.

 

 

 

     미성년자 단기선교팀의 경우 부모들과 정보교류가 중요합니다. 청소년 시기 아이들이 부모에게 설명을 잘 안해주거든요. 가정통신문을 통해 어떤 일정으로 어떤 곳을 가며 무슨일을 하고 어떤 환경에서 지낼지 알려드립니다. 부모 단톡방을 통해 아이들이 어떤 준비를 하고, 선교지에서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공유해주어야 부모의 걱정을 덜 수 있습니다.

 

     비자가 있어야 입국할 수 있는 나라들이 있습니다. 비자는 해당국가 대사관과 여행사, 선교사를 통해 확인하고 미리 준비 해야 합니다. 인도네시아에 경우 도착비자가 필요했고, 공항에서 비자를 구입(??)해도 되고 전자비자로 미리 비자를 구입할 수도 있었습니다. 비자가 필요한 국가는 비자 조건이 바뀌는 경우도 있기에 수시로 해당국가 대사관의 공지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코로나 시기의 경우 몇달마다 규정이 바뀌어서 애먹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세부 계획서

     세부 일정에 따른 지출내역을 계획해야 합니다. 여기서 정말 많이 복잡해지는데 화폐가 나라별로 달라 이중환전(??)으로 계산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계산에 익숙하신 분이 선교팀에 계신다면 정말 축복 받으신겁니다.

 

     보통 국내에서 원화를 달러로 환전하여 선교지로 가서 그 곳 환전소에서 현지 화폐로 교환을 하게 됩니다. 환전도 모든 금액을 한번에 하지 않고 선교기간동안 필요금액만 환전을 하는 편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비용이 남는다면 달러로 갖고 있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재정 보고서 작성할때 머리가 터지게 됩니다. 선교기간 동안에도 환율은 수시로 변동되고 환전수수료도 발생되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제가 자신이 없어 솔직히 뭐라고 말씀드리기 힘듭니다. 이 글을 보시고 능력자가 계시면 엑셀 계산식 파일을 공유 해주세요. 진심 부탁드립니다.

 

     각 프로그램 담당자를 배정하고 계획서와 예산안을 전달 받고, 준비 활동을 시작하고 더불어 물품(공용물품) 구입을 실시합니다. 가지고갈 물품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해보셔야 할 겁니다. 왜냐하면 해외 반입이 불가능한 물품도 있고 각 항공권마다 위탁 수화물에 중량이 한정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반입 금지 물품은 각 나라마다 다르므로 조사를 철저히 하셔서 준비하여야 현지 입국시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준비한 공용물품의 무게를 확인하여 각 선교팀 인원에게 고르게 분배하여 가져 갑니다.

 

     이 과정까지 왔다면 선교 출발이 얼마 남지 않았을 겁니다. 화이팅!

 

댓글